VPN
가상사설망으로써, 실제론 외부의 공용네트워크지만 두 단말기기의 연결형태가 굉장히 폐쇄적으로 유지시키는 것. 그래서 그외의 유저들은 해당 패킷을 알아도 내용이 무엇인지 알수가없다.
토렌트를 VPN업체로 이용하게되면, IP주소가 해당 VPN 업체의 IP주소로 되어, 사용자의 IP는 숨겨지게 된다. 이렇게되면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VPN업체엔 로그가 있을테니 그 업체를 뒤지든지, 아니면 VPN에서 다시 유저로 넘어갈때의 패킷을 스니핑하여 복호화를 해야하는데, 업체마다 암호화방법이 다를테니...
Proxy
프록시서버는 미러링서버라고도 불리는데, 어떤 외부 기기나 서버에 접근할때 중간에서 중계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프록시서버라고 한다. 프록시서버의 원래 역할은 일정 서버로의 트래픽이 몰리게되면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리는데, 그전에 프록시서버같은걸 여러대 설치해놓고 자주 retrieve해가는 데이터를 캐시로 저장해놓으면 분산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외에도 외국 접근불가능한 IP 주소를 숨겨서 접근할 수 있기도 하다.
토렌트에 사용될수도 있는데, 문제는 프록시를 이용한 접근에서는 유저의 IP가 그대로 남는다는 단점이 있는 듯하다. 포트포워드? 포트포워딩에 대해서 좀더봐야할듯.
Tor
양파형라이팅을 지원하는 것. 양파형이 처음엔 무엇인가했더니 onion -_-;
아무튼 여러개의 컴퓨터를 묶어서 해당서버로 매번 접근시 random path를 만들어서 접근한다.
이렇게 되면 마지막에 누가 이 데이터를 수령해가는지 알수가 없기 때문에 역시 추적에 어려움이 생긴다. 하지만 토렌트에 사용하기에는 속도가 너무느리고 비용이 크기때문에 안좋다고..
IPFilter
peerguardian, 아니지 요즘버전은 peerblock. 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 주요 경찰이나 isp업체들이나 저작권협회쪽의 ip들은 차단시켜서 추적하지못하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eerblock쪽 블락리스트는 iblocklist에서 관리하는데 그 업데이트 속도는 생각보다 빠르다.
보통 1~2일사이?
반면에 IPFilter는 2011년도까지만 있고, 2012년도버전엔 없는 듯하다.
간단히 사용하기엔 IPFilter가 편한듯하다. dat파일로 되어있어서 필요할때마다 넣고빼기만 하면되기 때문에. peerblock을 잘못쓰면 네이버도 막히고 게임도 접속이 막힌다는 사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